분류 전체보기26 [후기] 군 특화 데이터 분석 과정 2기 보조강사 참여 후기 + 인사이트 안녕하세요, 안재주입니다.오늘은 오랜만에 외부활동 후기를 작성하고자 합니다. 이번에 참여한 외부활동은 '군 특화 데이터 분석 과정 2기'입니다.- K-DT (Digital Transformation) 사업 중 일환으로, 국방부/IITP 주관입니다.- 운영사는 내러티브 (구 코드스테이츠)이며, 저는 내러티브의 에이전시 분께 소개받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.- 교육 내용은 노출하지 않으며, 저의 역할과 주관적인 후기를 작성하고자 합니다. 1. 강의 & 역할군 특화 데이터 분석 과정 2기 PBL- PBL은 Project-based Learning의 줄임말입니다.- 수행기간은 6월 13일 ~ 20일 (총 6일 진행) 20명 정도의 수강생 분들이 온전한 PBL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.- .. 2025. 6. 29. [소통] 컨택 관련 추가적인 문의사항 or 알고싶은 내용이 있으신가요? 안녕하세요, 안재주입니다.블로그에 새 글을 발행한지 3~4개월 정도 된 것 같습니다.많이 관리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, 꾸준히 방문해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. 제 블로그에 꾸준히 들어오시는 분들 중 90%는 '대학원 컨택' 관련입니다. 컨택 글을 발행한 12월에만 1,096명이 찾아와주셨습니다.그 이후 꾸준히 지속적으로 찾아오는 글이 된 것 같습니다. 워낙 솔직하게 작성하기도 했고, 기본적으로 N년동안 대학원 컨택을 도와주었던 경험이 빛을 발한 것 같습니다.위 글이 궁금하신 분을 위해 아래에 페이지 링크 달아 두겠습니다. 2024.12.03 - [AI 멘토 활동] - [대학원] 대학원 컨택 메일 언제/어떻게/얼마나 보내야돼요 ? (실제 예시 첨부) [대학원] 대학원 컨택 메일 언제/어떻게/얼마나 .. 2025. 5. 18. [2025-05] 프로필 업데이트 안녕하세요, 인생으로 실험중인 "안재주"입니다.- 기존에 블로그에서 다양한 닉네임을 실험했습니다.- 재주스, 제이 등등 ...- 이런 닉네임으로 글을 작성하는 것이 항상 어색했습니다.- 가장 저다운 건 역시 제 이름인 것 같습니다.- 앞으로는 "안재주"로 활동할 생각입니다. 시간이 조금 지나기도했고, 그동안 또 다른 활동을 해왔기에 프로필을 업데이트합니다.- 기존보다는 조금 더 톤-다운 형태로 작성할 생각입니다.- 기전의 프로필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조 부탁드립니다.2024.11.19 - [프로필] - 재주스, 과연 그는 누구인가? 재주스, 과연 그는 누구인가?안녕하세요, 재주스입니다.7년째 인공지능 분야에서 생존하고있습니다.최근, 기록과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.그.. 2025. 5. 18. [AI-powered] 💥필수💥 AI 개발자가 아니여도, 우리 모두가 AI 공부가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, 재주스입니다.본 포스팅은 'AI, 직업 그리고 성장'에 대한 제 경험/실험/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. 요약- AI를 두려워하지 마세요.- 세상에 나오는 다양한 AI (LLM/생성형)를 사용해 보고 '내 업무'에 적용하세요. 최대한 흥미롭게 풀어쓰려고 노력했습니다.공감되거나 궁금한 내용은 댓글 부탁드립니다.목차1. LLM / 생성형 AI의 영향력2. AI가 자체가 아니라, 'AI를 잘 쓰는 사람'이 여러분을 대체합니다3. AI-powered + X 만이 유일한 생존방법이다 1. LLM / 생성형 AI의 영향력2023년부터 시작한 chatGPT, 생성형 AI 열풍을 열심히 지켜보며 꼬박 2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.그동안 OpenAI의 chatGPT가 어떻게 우리의 일상에 침투하는지, Google과.. 2025. 3. 16. [AI-powered] 내가 뭐랬어, 2025년 1월 16일 개봉된 구글의 'AI-powered' 전략 제품 안녕하세요, 재주스입니다! 오늘은 따끈따끈한 소식을 들고 왔습니다. 바로 구글이 오늘 공개한 최신 AI 제품입니다. - 해당 글을 작성 중인 2025년 1월 16일 오후 11시 기준, 당일에 발표된 내용입니다.구글이 공개한 제품은 'Google Workspace + AI-powered Work'입니다.- 문구부터 너무 마음에 듭니다. - 'AI-powered work for every business'- 저는 해당 표현을 이렇게 해석합니다. - 개인이 업무 (work)를 하는데 AI를 도구로서 활용한다. - 즉, AI-powered + X 능력을 가리키는 것 같습니다. 저의 프로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, 저는 AI-powered는 필수라고 믿습니다.- 왜냐하면 지금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AI를 제대로 활용하.. 2025. 1. 16. [일상] 누군가는 경기대에서 성균관대로 안녕하세요 재주스입니다.오늘은 일상에서 뿌듯-한 일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. 제가 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은 경기도 수원을 거점으로 시작했습니다.사업을 막 시작했을 2023년도에는 일이 너무너무 많았던 것 같습니다.- 왜인지 모르겠으나 지금이 더 많긴 합니다... 그 당시 부족한 인적자원을 채우고, AI 스타트업이 일하는 경험을 나누고자 '경기대 국가근로' 사업에 참여했었습니다.- 경기대 국가근로 사업 중 인턴근로 사업은 '스타트업이 인적자원을 제공받고, 학부 학생들에게 실무감각을 제공하는' 시스템입니다. 2023년 이후로 꾸준히 해오며 많은 도움을 주고받는 너무 고마운 프로젝트입니다.이 프로젝트를 통해 경기대 인턴 학생을 많이 만나고 있습니다.- 우리 회사에서 일하는 학생들이 꼭 좋은 경험을 갖고 나갈.. 2025. 1. 15. [회고] 2025 1분기 2주차 (2024.01.05 - 2025.01.11) 안녕하세요 재주스입니다.2025년 1분기 2주차 회고입니다.- 1주차와는 목차가 조금 달라졌습니다.- 더 체계적인 형태로 계속 최적화 시켜나갈 예정입니다.# 목차1. 기간2. 주간일정3. 주간 태스크 (Pro)4. 주간 태스크 (Personal)5. 주간 생각/이슈사항 6. 루틴 현황7. 기타 1. 기간 2025.01.05 - 2025.01.117일 (평일 5일, 주말 2일)2. 주간 일정2025.01.09 : LLM 7차 1회2025.01.10 : S병원 B2B 제품 업데이트3. 주간 태스크 (Pro)[CORE] B2B, B2C 비디오 스트리밍 속도 대폭 향상[CORE] B2B, B2C 스트리밍 브라우저 안정성 대폭 향상[CORE] B2B 코드 리팩토링 완료 → 안정성 대폭 향상[CORE] 현재 진행.. 2025. 1. 12. [회고] 2025 1분기 1주차 (2024.12.29 - 2025.01.04) 안녕하세요 재주스입니다.저는 반성적인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.- 행동을 돌아보고 부족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즐깁니다. 한계파악 느낌?- 나름의 지표를 설정하여 얼마큼 달성 가능한지도 확인합니다. 이런 반성적인 태도를 기반으로, 석사를 막 졸업했을 때는 [일간회고, 주간회고, 월간회고, 프로젝트회고] 등 할 수 있는 모든 회고를 6개월 동안 유지했었습니다...- 하지만 회고하고 다시 복기하지 않아 성장이 없었습니다. 2025년을 맞이하여 다시금 회고를 시작해보고자 합니다.- 주간회고/월간회고만 꾸준히 작성할 예정입니다.- 25년도 1분기는 간단한 템플릿을 준수하면서 꾸준히 진행해 보는 것이 목표입니다. # 목차1. 기간2. 주간 일정3. 주간 코어 Task4. 주간 Task (Personal)5. 주간 Ta.. 2025. 1. 6. [사업일지] 내가 7년간 지켜왔던 연구 & 개발 자세 안녕하세요, 재주스입니다.오늘은 제가 7년간 어떤 자세로 연구개발 및 제품화에 임하고 있는지 얘기해보고자 합니다.제가 클레버러스의 Tech Leader를 맡고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우리 팀의 연구개발 문화에도 반영되는 자세입니다.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.- 매사에 안 되는 핑계를 찾지 말 것- 마무리하고 개선할 것1. 매사에 안되는 핑계를 찾지 말 것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이자 태도입니다.프로젝트든, 기능개발이든, 기능수정이든, 모든 일을 시작부터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일단 시작하면 한숨부터 쉬고, 최대한 안 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하는 사람들 말입니다. 자기가 직접 하기 귀찮다던가, 잘 못하는 일이라 하고 싶지 않다던가, 책임 있는 일을 하기 싫다던.. 2024. 12. 21. [팁] 인공지능 논문 & 기술 트렌드 어디서/어떻게 알 수 있을까? 안녕하세요, 재주스입니다.본 포스팅은 '인공지능 트렌드'를 어디서/어떻게 알 수 있는지 '제 기준'으로 작성하고자 합니다.마음에 드는 부분은 참고하시어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. 이번 주제는 제가 자주 눈팅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오픈 카카오톡방에서 얘기가 나왔기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목차1. 인공지능 트렌드 종류 (연구 & 개발)2. 인공지능 트렌드 정보 획득 방법 1. 인공지능 트렌드 종류 (연구 & 개발) 인공지능 분야는 연구와 개발 사이에 괴리감이 꽤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.연구적인 내용이 Hot한 경우가 있으면, 개발적인 내용이 Hot할 때도 있습니다.연구 HotSAM (Segment Anything Model)이 발표되었을 때, 너도나도 데모 돌리고 확인하면서 정말 Hot했던 것 같습니다.짧은 시.. 2024. 12. 8. 이전 1 2 3 다음